Oauth2를 이용한 google API 사용 과정
이력서를 완성하고, 면접 본다고 오랜만에 정리하게 되었다. 코딩 테스트로 Oath 2를 이용한 로그인 시스템을 구현하게 되었는데, 앞으로도 종종 사용할 것 같으니 잊어버리기 전에 정리하기로 하겠다. 흔히 볼 수 있는 Naver, Google 등의 계정으로 특정 웹 혹은 앱에 로그인 하는 것이 Oath 2이다. 그 외에도 API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기술이며 구현하기도 까다롭고, 보안상의 문제로 인해 Spring boot 나 API를 제공하는 서버는 SDK를 제공해주니 참고해서 만들면 된다. 참고로 이해 안하고 SDK만 가져다 쓰면 나중에 확장할 때 매우 격하게 삽질할 수 있으니 Oath 2의 구동 방식을 반드시 이해하길 추천한다. 1. Client는 특정 Server에서 제공하는 어떠한 데이터를..
읽고 쓰고 씹고 즐기고/Spring-boot
2019. 6. 6. 16:41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스터디 회고
- 멀티모듈
- JAR
- spring-boot
- 인텔리J
- Gradle
- 회고
- JavaScript
- 일지
- 모듈
- 자바스크립트
- 프로그래머스
-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리액트
- Spring
- @Autowired
- homebrew
- body
- 개발일지
- Java
- Request Handler
- Spring Boot
- RequestHandler
- 개발
- mapping
- HTTP
- springboot
- MySQL
- web
- graphQL
- heade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