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래 어제부터 인턴으로 출근해야 했지만대표님의 개인 사정으로 인해 다음 주부터 출근하게 되었다.[당시 나의 기분 : oh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! 주말에 데이트!!!!!!!!!!!!!!] 어제 카페에서 내 님과 함께 공부를 시작했고,구글링해도 원하는 정보를 찾기가 참 힘든 graphQl를 사용하여 Hello, World!를 출력해보기로 했다. 처음으로 한 것은 Spring Initializr 홈페이지에서 개발 기반 환경을 내려받은 것이었다. 그렇게 프로젝트까지 오픈하고 나니 뭘 어디서부터 해야 할지 모르는 상태가 되었고,답답한 마음에 과제를 낸 대표님과의 카톡을 다시 올려다봤더니 [찬양하라 대표님]이미 옛적에 참고할 링크를 보내주셨던걸 보게 됐다..
요구 사항각 행렬의 덧셈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를 완성하라. 위의 사진은 약 3주 정도 전에 했던 코드다.뭘 그리 복잡하게 생각했는지 모든 값을 List에 저장 후 길이만큼 잘라 넣는 방식을 선택했었다. 한동안 잊어버리고 있다가 오늘 다른 문제 풀던 중 머리 식히는 겸 다시 풀어보았다. 일단 요구 사항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았다.굳이 그렇게 하지 말고 기존에 만들어 둔 배열에 값을 바로 넣는 방식을 채택하는 방식으로방법을 변경했다. 그리하여 완성된 코드.물론 잘 통과하였다. 아직 알고리즘도 아장아장이라 간단하게 생각할 수 있는 걸 어렵게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다.하다 보면 이것도 점차 좋아질 거라 생각한다..
예외처리~ Exception~~~~~ 내 이야기를 읽은 사람이라면 6개월이나 읽은 놈이 이걸 고민해!? 라고 생각할 것이다. 음... 근데 고민이다.뭐가 고민이냐면 1. Class를 나눠서 exception을 따로 관리해야 할 것인가.2. 어떻게 하면 2중 try- cahct를 사용하지 않을 것인가. 2중 if문을 사용하지 않는 게 몸에 적응된 나로서는 2번째 선택지가 정말 싫다.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(X10000000000배) 싫어서어떻게 하면 저걸 피할 수 있을지 검색해보았다. 그리고 기본적으로 2중을 쓰면 그 이후에 추가로 조건이 늘어날 때계속 사용하겠지?그러다 보면 답도 없이 늘어날 거다. 그래서 방법을 찾아본 결과,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선택지는? 1. 재귀2. 람다3. 그냥 메서드를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Request Handler
- 멀티모듈
- RequestHandler
- Java
- JavaScript
- 인텔리J
- spring-boot
- 일지
- Spring
- Gradle
- 자바스크립트
- 스터디 회고
- springboot
- homebrew
- 프로그래머스
- 회고
- HTTP
- @Autowired
- body
- graphQL
- 개발
- 개발일지
- header
-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리액트
- 모듈
- mapping
- web
- JAR
- Spring Boot
- MySQ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